2025. 4. 8. 14:13ㆍ즐거운 이슈
2025년 대한민국은 격동의 정국 한가운데 서 있습니다.
윤석열 전 대통령의 헌정 사상 두 번째 탄핵이 인용되면서, 헌법 제68조 2항에 따라 조기 대통령 선거가 치러지게 되었죠.
과연 조기대선은 언제이며, 사전투표는 며칠인지 확실히 알고 계신가요?
오늘은 조기대선 날짜부터 후보 등록 일정, 투표 참여 방법까지 싹 정리해드릴게요.
조기대선 날짜 : 2025년 6월 3일 화요일
헌법재판소가 윤석열 전 대통령의 파면을 만장일치로 결정한 직후, 선거일이 공식 발표되었습니다.
헌법에 따라 대통령 궐위 시 60일 이내에 대선을 치러야 하며, 이에 따라 선거일은 2025년 6월 3일(화요일)로 확정되었습니다.
- 📌 대통령 선거일 : 2025년 6월 3일 (임시공휴일 지정)
- 📌 법적 근거 : 헌법 제68조 제2항
- 📌 사유 : 윤석열 전 대통령 파면으로 인한 궐위
선거일이 평일이라도 임시공휴일로 지정되기 때문에 직장인도 투표 가능합니다.
주요 일정 총정리 : 등록부터 사전투표까지
조기 대선이라고 해서 일정이 대충 치러지는 건 절대 아닙니다.
오히려 더 빠듯하고 정확하게 법대로 진행됩니다.
📍 조기대선 주요 일정
- 후보자 등록 : 2025년 5월 10일 ~ 5월 11일 (2일간)
- 공식 선거운동 기간 : 2025년 5월 12일 ~ 6월 2일
- 사전투표 : 2025년 5월 29일(목) ~ 5월 30일(금)
공직 후보로 나서려는 사람은 5월 4일까지 사직서를 제출해야 합니다.
(선거일 30일 전 규정)
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 경과 요약
왜 조기대선이 열리게 됐는지 정확한 배경도 알아야겠죠.
헌법재판소가 파면을 인용한 사유는 다음과 같습니다.
- 2024년 12월 3일 : 윤 전 대통령, 국회 기능 정지 시도 (계엄령 선포)
- 2024년 12월 14일 : 국회 탄핵소추안 가결
- 2025년 4월 4일 : 헌법재판소, 만장일치로 파면 결정
이후 총리가 권한대행 체제로 국정을 이끌고 있으며, 선거는 헌법 절차에 따라 추진되고 있습니다.
현재 거론되는 주요 후보들
선거가 코앞으로 다가오면서 각 당은 본격적인 후보 선출 작업에 착수했습니다.
여론조사에 자주 등장하는 인물은 다음과 같습니다.
- 이재명 – 더불어민주당 대표, 2022년 대선 2위
- 안철수 – 국민의힘 전 대표, 중도층 공략 가능성
- 김문수 – 보수 강경 노선의 상징
각 당의 후보 확정은 5월 초까지 마무리될 것으로 보이며, 이후 20일간의 유세전이 시작됩니다.
Q&A : 조기대선 관련 자주 묻는 질문
Q. 6월 3일 조기대선은 공휴일인가요?
A. 네, 임시공휴일로 지정돼 직장인도 투표할 수 있습니다.
Q. 사전투표는 꼭 해야 하나요?
A. 아니요, 사전투표는 선택입니다. 단, 당일 참여가 어렵다면 사전투표를 활용하세요.
Q. 대선 후보는 언제 확정되나요?
A. 각 당의 후보 확정은 5월 초~중순 사이 완료될 예정입니다.
'즐거운 이슈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구속되면 수용복 입고 '머그샷' 촬영...도널드 트럼프도 찍었던 머그샷에 대해 알아보자 (0) | 2025.01.19 |
---|---|
운동효과는 2배, 시간은 절반? 하루 15분의 기적, 빌파(VILPA)란 무엇일까 (0) | 2025.01.06 |
버드 스트라이크의 뜻, 위험한 이유, 대응 방법 등 (0) | 2024.12.29 |
한동훈 국민의힘 당대표 사퇴 기자회견 전문 및 핵심 요약, 배경 (2) | 2024.12.16 |
탄핵소추와 탄핵의 뜻과 의미, 탄핵소추와 탄핵심판 차이, 진행과정 (5) | 2024.12.15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