2025. 4. 7. 08:30ㆍ즐거운 정보
2025년에도 새희망홀씨 대출은 서민과 취약계층에게 든든한 금융 지원책이 됩니다.
은행권 자체 재원을 활용해, 소득이 적거나 신용이 낮은 분들도 비교적 쉽게 대출을 받을 수 있도록 설계된 상품인데요.
하지만 아무나 받을 수 있는 건 아니기 때문에, 내가 해당되는지 조건부터 천천히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.
✅ 내가 받을 수 있는 조건 체크리스트
✔ 연소득이 4천만 원 이하이다
✔ 또는 연소득 5천만 원 이하이면서 신용점수가 낮다 (하위 20%)
✔ 최근 3개월 이상 연체가 없다
✔ 은행 대출이 처음이거나 고금리 대출을 대환하고 싶다
※ 신용점수 하위 20% 기준 : KCB / NICE 약 744점 이하
📌 대출은 얼마나, 얼마 동안 받을 수 있나요?
2025년부터 새희망홀씨 대출은 최대 3,500만 원까지 받을 수 있습니다.
이전에는 2천만 원 한도였지만, 최근 수요 증가에 따라 상향된 겁니다.
대출 기간도 꽤 넉넉한데요. 최장 10년까지 상환 가능하며, 방식은 원리금 균등, 거치 후 분할, 만기일시상환 등으로 다양합니다.
중도상환수수료는 없기 때문에 원할 때 조기 상환도 가능합니다.
※ 평균 승인금액은 2024년 기준 1,380만 원 수준입니다.
📉 금리는 어느 정도인가요?
은행마다 차이가 있지만, 2024년 기준 평균 금리는 7.6%입니다.
금리는 최대 10.5% 이내에서 결정되며, 성실상환자나 금융교육 이수자는 우대금리를 적용받을 수 있습니다.
또한, 1년 이상 연체 없이 상환하면 긴급생계자금 500만 원 추가로 신청할 수도 있습니다.
👨👩👧👦 실제로 누가 많이 신청하나요?
2024년 기준으로 보면, 전체 신청자의 69.6%가 근로소득자였고,
대출 목적은 생계자금이 64%로 가장 많았습니다.
연령대는 30대(27.1%)가 가장 많고, 그 뒤를 20대 이하(21%), 40대(19.5%)가 잇고 있으며,
60대 이상 신청자 비율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는 점이 특징입니다.
🏦 어디서 신청하고, 어떤 방식이 있나요?
예전엔 대부분 은행 창구를 방문해야 했지만, 요즘은 모바일이나 온라인 신청 비중이 크게 늘었습니다.
- 은행 지점 방문 : 국민, 우리, 농협, 신한, 하나은행 등 전국 시중은행
- 비대면 신청 : 모바일뱅킹 (전체 신청의 40.1%) / 은행 홈페이지 (20.2%)
- 서민금융 플랫폼 ‘잇다’ : 2024년 6월부터 연계 예정
📌 은행마다 심사 기준이나 요구 서류가 다르니 최소 2곳 이상 비교하는 게 좋습니다.
🧾 상황에 맞춘 특화상품도 있어요
모든 사람이 같은 상품을 이용하는 건 아닙니다. 은행들은 다양한 유형의 특화상품을 운영하고 있는데요.
- 대환형 : 2금융권 고금리 대출을 은행 대출로 갈아타고 싶은 경우
- 청년형 : 만 34세 이하, 급여소득이 있는 청년 대상
- 소액형 : 비상금 용도, 모바일 전용 소액 비대면 대출
- 사업자형 : 일정 매출 이상 유지 중인 개인사업자 대상
본인 상황에 맞는 유형이 있다면 더 유리한 조건으로 신청 가능하니, 꼭 문의해보는 것이 좋습니다.
📞 문의처
자세한 상담이나 본인의 대출 가능 여부는 아래 공식 채널을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.
금융감독원 콜센터 : 1332
또는 국민은행, 농협, 신한은행 등 각 은행 고객센터 및 지점 문의
※ 본 글은 금융감독원 2025년 3월 보도자료를 바탕으로 작성되었습니다.
'즐거운 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소상공인 택배비 지원 30만원 신청 방법과 조건 알아보세요 (0) | 2025.04.08 |
---|---|
알아두면 1년에 3번은 쓴다… HWP 파일, 엑셀 파일로 변환하는 방법 (0) | 2025.04.08 |
2025년 소상공인 철거지원금 신청방법 총정리|최대 400만원 지원받는 법 (0) | 2025.04.05 |
잊을만하면 발생하는 대형 재난, 산불 발생 시 행동 요령을 아시나요? (0) | 2025.03.25 |
이걸 진짜 먹는다고? 전 세계의 ‘피로 만든 음식’들 (0) | 2025.02.11 |